본문 바로가기

미드 & 영드로 공부하기

GOSSIP GIRL(가십걸)에서 배우는 영어 회화(5)

오늘도 8가지 표현을 가지고 왔다.

보다보니 한 시즌에 굉장히 스토리가 많은데 이게 시즌6까지 있다니 말도 안된다ㅋㅋㅋㅋㅋ

언제 다 볼 수 있을까...ㅎ




#1  There are no buts.

베네사는 네이트가 훨씬 나이 많은 유부녀와 계속 만나왔던 것을 알게 된다.

그래서 자신을 피했던 것이냐며 묻는 베네사에게 네이트는 "But...."이라고 말을 시작한다.

그러자 베네사는 "There are no buts."라고 네이트의 말을 끊는다.


우리나라에서는 뭔가 핑계거리를 계속 대는 사람에게 이런 말을 한다.

'사족 좀 붙이지마.'

영어에서도 무언가 핑계거리 댈 때 'but...'이라고 시작하며 말을 하므로 "핑계대지마."라는 말을 하고 싶을 때

이 문장을 말하면 된다.

"There are no buts." 

또는 "No buts about it."




#2  Don't let it go to your head.

제니는 블레어의 어머니가 운영하는 의류 브랜드의 인턴으로 들어갔는데

처음에는 해고를 당할 뻔 하다가 블레어의 어머니가 제니의 재능을 인정하면서 한 말이다.


"Don't let it go to your head." 를 직역하면 '그걸 네 머리로 가지 않도록 해' 이다.

우리나라의 말 중에는 '콧대가 높아지다'라는 문장이 있다.

자신감으로 넘쳐서 의기양양한다는 의미이다.

자신감이 넘치면 콧대가 높아지고 어깨가 올라가는 것처럼 무언가가 상승하는 이미지가 떠오른다.

 머리 쪽인 위로 올라가는 것도 자신감이 넘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자신감이 넘치는 것이 과하면 자만할 수도 있다.

"Don't let it go to your head."는 "자만하지마." 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3  I can't believe that Nate Archibald is gigolo.

베네사는 네이트가 유뷰녀를 만났다는 사실을 베프인 댄에게 말한다.

그 말을 듣고 댄이 저렇게 말했다.


나는 'gigolo'라는 단어를 처음 들어봤다.

그래서 뜻을 찾아보니 네이버 어학사전에서는 '제비족(남자)'라고 나온다.

다른 표현으로는 매춘을 하는 남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나는 네이트 아치볼드가 제비족이라는 걸 믿지 못하겠어."라고 해석된다.


이 미드에서 이런 막장(?)인 내용이 많이 일어나므로 저런 의미를 가지는 단어들도 엄청 사용된다.




#4  One sharp.

학기가 시작되는 첫 날, 블레어와 그녀의 무리들은 자신들과 같이 다닐 일행을 선별한다.

꼼꼼히 학생기록부까지 보고 면접도 본다ㅋㅋㅋㅋㅋ

그 중 어떤 아이가 축구부와 친하다고 하자, 자신들과 같이 점심을 먹자고 블레어는 제안한다.


1시 정각을 영어로 하면 대부분 "One o'clock" 이라고 가장 먼저 떠오를 것이다.

따른 표현으로는 "One o'clock sharp"가 있다.

sharp는 '뾰족한, 날카로운'이라는 뜻의 형용사로 쓰일 뿐만 아니라

특정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 뒤에 쓰여 '정각'이라는 뜻의 부사로도 쓰인다.


블레어는 o'clock을 생략하고 "One sharp"라고 아주 간결하게 말했다.

같이 점심먹자고 제안하는 것을 저렇게 자기가 제안하지 않는 것처럼 말하는 것도 능력인 것 같다ㅋㅋㅋ




#5  You take the cake.

마커스가 자신의 새엄마인 공작부인과 외도를 한다는 것을 알게 된 블레어가 마커스를 불러 앉힌다.

이미지가 굉장히 모범적이었던 마커스였기에 충격이 컸다...

(이 쯤되면 정말 이 드라마는 막장에 막장이다...)

그리고서는 저렇게 말했다.


일단 My family was twisted라고 하니 자신의 가족이 막장이라는 뜻을 완곡하게 '꼬여있다'라고 표현한 듯하다ㅋㅋㅋ

"take the cake"는 직역하면 '케이크를 차지하다'인데

가장 1등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케이크를 차지했다라고 생각하면 쉬울 듯 하다.

따라서 "You people take the cake."는 긍정적인 의미나 부정적인 의미로 "당신네들이 최고시네요."라고 해석된다.

여기서는 당연히 비꼬는 듯한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우리가족도 막장이지만 당신네들이 최고세요.' 라고 해석할 수 있다ㅋㅋ




#6  Spare me.

공작부인(캐서린)과 서로 계약을 하고 난 뒤 다시 캐서린에게 전화가 오자,

블레어가 캐서린에서 "Just spare me."라고 말한다.


Spare은 동사로 쓰일 때 '할애하다, 내어주다'라는 뜻도 있지만 '아끼다'라는 뜻도 있다.

"Spare me"는 직역하면 '나를 아끼라.'인데 의역하면 '나를 내버려두라.'라고 해석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Spare me the lecture."은 '잔소리(강의)에서 나를 내버려둬.' 즉, '잔소리 하지마.'라고 해석된다.

이처럼 "Spare me the A"라고 하면 'A에서 부터 나를 내버려둬.'이다.

따라서 위에서 블레어가 한 말은 "캐서린, 무엇이든지 간에, 그냥 날 내버려둬요."로 해석된다.




#7  You had my back.

댄이 척을 위해 주먹을 날리고 둘 다 경찰서에 잡혀간다.

둘다 갇혀있었는데 척이 댄에게 한 말이다.


"have one's back", "got one's back", 그리고 "watch one's back"등은 모두 '~의 뒤를 봐주다'의 뜻이다.

이는 더 나아가 "~를 보호하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You had my back."은 "너가 날 보호해줬어."라는 뜻이다.




#8  You watch your back.

음 갑자기 위의 사진과 반대되는 상황으로 전개되었다ㅋㅋㅋ

댄이 자신의 이야기를 소설로 쓰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된 척은 자신을 이용하지 말라면서 말한다.

"You watch your back."


앞선 표현처럼 또 단어 'back'이 등장했다.

하지만 여기서는 전혀 다른 느낌으로 사용된다.

이를 직역하면 '너의 뒤를 봐.'이다.

의역하여 '조심해.'라는 경고의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아마 뒤에서 공격하는 것이 알아채기 더 어렵다는 점에서 경고와 두려움을 주려고 "back"이라는 단어를 쓰게 된 것이 아닌가 추측해본다.